맨위로가기

왕하오 (1983년생 탁구 선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하오(1983년생)는 중국의 은퇴한 탁구 선수이자 현 지도자이다. 그는 중국식 펜홀더 이면 타법의 선구자로 불렸으며, 27개월 연속 세계 랭킹 1위를 기록했다. 올림픽에서 남자 단식 은메달 3개와 남자 단체전 금메달 2개를 획득하여 올림픽 탁구 남자부 최다 메달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014년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활동하며, 현재는 중국 남자 탁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탁구 감독 - 마린 (탁구 선수)
    마린은 중국의 탁구 선수이자 코치로, 올림픽에서 여러 차례 금메달을 획득하고 세계 선수권 대회와 월드컵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며, 현재는 중국 여자 국가대표팀 수석 코치를 맡고 있다.
  • 중국의 탁구 감독 - 류궈량
    류궈량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탁구 선수, 지도자, 행정가로,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90년대 탁구계를 이끌었고, 은퇴 후 중국 탁구 발전에 기여했다.
  • 중국의 남자 탁구 선수 - 마룽
    마롱은 2004년 주니어 선수권 우승 후 올림픽 금메달 6개, 세계 선수권 3회 우승 등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며 탁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그랜드슬램 달성 및 안정적인 셰이크핸드 그립과 양핸드 드라이브를 활용한 플레이 스타일로 유명하며,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중국 올림픽 역사상 최초 6관왕을 달성했다.
  • 중국의 남자 탁구 선수 - 판전둥
    판전둥은 6세에 탁구를 시작하여 2012년 국가대표 1군으로 승격되었으며, 세계 주니어 탁구 선수권 대회 우승을 시작으로 커리어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중화인민공화국의 탁구 선수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올림픽 탁구 참가 선수 - 쑨잉사
    쑨잉샤는 탁구 선수로,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우승을 시작으로 올림픽에서 금메달과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2022년부터 세계 랭킹 1위를 유지하며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로 중국 여자 탁구의 황금기를 이끌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올림픽 탁구 참가 선수 - 마룽
    마롱은 2004년 주니어 선수권 우승 후 올림픽 금메달 6개, 세계 선수권 3회 우승 등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며 탁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그랜드슬램 달성 및 안정적인 셰이크핸드 그립과 양핸드 드라이브를 활용한 플레이 스타일로 유명하며,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중국 올림픽 역사상 최초 6관왕을 달성했다.
왕하오 (1983년생 탁구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왕하오 OQ 2012
2012년의 왕하오
이름왕하오
원어 이름王皓
로마자 표기Wang Hao
출생일1983년 12월 15일
출생지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창춘시
신장1.75m
체중70kg
오른손잡이
스타일공격형 펜홀더
최고 세계 랭킹1위 (2004년 12월, 2007년 10월 – 2009년 7월, 2011년 4월 – 9월)
소속바이 대상
국가중화인민공화국
은퇴2014년
올림픽
2004 아테네남자 단식 은메달
2008 베이징남자 단식 은메달, 남자 단체 금메달
2012 런던남자 단식 은메달, 남자 단체 금메달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2003 파리남자 복식 은메달, 혼합 복식 동메달
2004 도하남자 단체 금메달
2005 상하이남자 복식 금메달
2006 브레멘남자 단체 금메달
2007 자그레브남자 단식 동메달, 남자 복식 은메달
2008 광저우남자 단체 금메달
2009 요코하마남자 단식 금메달, 남자 복식 금메달
2010 모스크바남자 단체 금메달
2011 로테르담남자 단식 은메달, 남자 복식 동메달
2012 도르트문트남자 단체 금메달
2013 파리남자 단식 은메달
2014 도쿄남자 단체 금메달
세계 선수권 대회 참가 횟수12
세계 선수권 대회 첫 출전2003
세계 선수권 대회 마지막 출전2014
아시안 게임
2006 도하남자 단식 금메달, 남자 단체 금메달, 남자 복식 동메달
2010 광저우남자 단식 은메달, 남자 복식 금메달, 남자 단체 금메달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
2003 방콕남자 단식 금메달, 남자 단체 금메달, 남자 복식 동메달
2005 제주남자 단체 금메달
2007 양저우남자 단식 금메달, 남자 단체 금메달, 남자 복식 은메달
아시아 주니어 탁구 선수권 대회
1999 첸나이남자 단체 금메달, 남자 단식 은메달, 남자 복식 은메달
월드컵
2007 바르셀로나남자 단식 금메달
2007 마그데부르크남자 단체 금메달
2008 리에주남자 단식 금메달
2010 두바이남자 단체 금메달
2010 마그데부르크남자 단식 금메달
2011 마그데부르크남자 단체 금메달
2013 광저우남자 단체 금메달
2005 리에주남자 단식 은메달
2006 파리남자 단식 은메달
2011 파리남자 단식 은메달
2004 항저우남자 단식 동메달
아시안 컵
2005 뉴델리남자 단식 금메달
2006 고베남자 단식 금메달
2009 항저우남자 단식 은메달
기타 정보
플레이 스타일공격형 펜홀더
라켓쿄우효 N301-중국식
앞면 러버국천3 란하이몐 40도
뒷면 러버국광3 백하이몐 37도
ITTF 프로필ITTF 프로필
수상 경력세계 탁구 명예의 전당 (2010)
통산 경기380
통산 승리314
통산 승률83

2. 이면 타법

왕하오는 중국식 펜홀더 전형의 이면 타법의 선구자로 불렸다. 왕하오 이전에도 마린, 류궈량 등 중국식 펜홀더를 사용하여 국제 무대에서 활약한 선수는 많았으나, 단면 직선 쇼트 위주로 사용하여 일본식 펜홀더 전형의 단면 타법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이와 달리 왕하오는 이면 타법 위주의 공격 스타일을 사용해 백핸드 드라이브를 자유롭게 구사하여 셰이크핸드 전형의 백핸드 드라이브 못지않은 강력한 회전량과 파워를 발휘했다. 한 탁구팀 감독은 중국식 펜홀더 선수 중 백핸드로 연속해서 맞드라이브를 걸 수 있는 선수는 왕하오가 유일하다는 평을 내린 바 있다. 이를 바탕으로 27개월 연속 세계 랭킹 1위, 다수의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강력함을 과시했다. 왕하오 은퇴 이후 현재는 중국의 쉬신, 홍콩의 웡춘팅 선수가 중국식 펜홀더 이면 타법으로 활약 중이다.

3. 플레이 스타일

왕하오는 중국식 펜홀더 전형의 이면 타법의 선구자로 불렸다. 왕하오 이전에도 마린, 류궈량 등 중국식 펜홀더를 사용하여 국제 무대에서 활약한 선수는 많았으나, 단면 직선 쇼트 위주의 사용으로 일본식 펜홀더 전형의 단면 타법에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이와 달리 왕하오는 이면 타법 위주의 공격 스타일을 사용해 백핸드 드라이브를 자유롭게 구사하여 셰이크핸드 전형의 백핸드 드라이브 못지않은 강력한 회전량과 파워를 발휘했다.[8] 한 탁구 팀 감독은 중국식 펜홀더 선수 중 백핸드로 연속해서 맞드라이브를 걸 수 있는 선수는 왕하오가 유일하다는 평을 내린 바 있다. 이를 바탕으로 27개월 연속 세계 랭킹 1위, 다수의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강력함을 과시했다. 왕하오 은퇴 이후 현재는 중국의 쉬신, 홍콩의 웡춘팅 선수가 중국식 펜홀더 이면 타법으로 활약 중이다.

왕하오는 펜홀더 그립을 사용한다. 그는 테이블의 양쪽 윙에서 훌륭한 공격 및 방어 기술을 갖춘 새로운 물결의 펜홀드 선수들을 대표한다. 펜홀드 그립과 관련된 손목의 더 큰 자유는 왕하오가 포핸드 측에서 많은 양의 회전을 생성할 수 있게 해준다.

대부분의 프로 선수들과 비교했을 때, 왕하오는 서브 시 테이블 안쪽으로 매우 느리고 짧게 떨어지는 공을 제외하고, 백핸드 측에서 거의 모든 샷에 리버스 사이드(backhand)를 사용한다. 이러한 백핸드에 리버스 사이드만 사용하는 스타일은 부적절하다고 여겨졌고, 그가 처음 국가대표팀에 합류했을 때 대부분의 선수들은 그를 높게 평가하지 않았다.

중국식 펜홀더 선수로, 백핸드 드라이브도 사용한다. 다른 선수와는 달리, 백핸드 기술은 그 대부분이 백핸드 드라이브이며, 쇼트, 푸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백핸드로 표면을 사용하지 않고 모두 백핸드로 처리하는 것은 현재까지 왕하오 외에는 최고 레벨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13] 전진에서의 안정적인 양쪽 핸드 드라이브 플레이에 더해, 랠리전에서의 강함과 백핸드 드라이브에 의한 독특한 구질의 플릭으로 대표되는 테이블 위 기술, 블록도 뛰어나다. 또한, 전진에서 양쪽 핸드로의 카운터로 유도하기 위해, 아시아 선수로서는 드물게 유럽 선수처럼 횡회전 계열의 서브를 넣어 랠리를 전개하는 경우가 많다.

4. 선수 경력

왕하오는 1996년 지린 성 탁구 팀에 입단하면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98년에는 국가대표팀에 합류하여 프로 선수로 전향했다.

1999년 세계 클럽 선수권 대회 단체전에서 우승했고, 같은 해 아시아 주니어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단체전 우승, 남자 단식 및 남자 복식에서 준우승했다. 2000년 세계 클럽 선수권 대회 남자 단체전에서는 준우승했다.

2001년 제9회 전국운동회 남자 단체전에서 우승했고, 2002년에는 ITTF 프로 투어 네덜란드 오픈과 이집트 오픈에서 남자 단식 우승을 차지했다.

2003년 제47회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 준우승, 혼합 복식 3위를 기록했고, ITTF 프로 투어 크로아티아 오픈, 덴마크 오픈, 스웨덴 오픈에서 우승했다.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남자 단체전 및 남자 단식에서 우승하고, 남자 복식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2004년 올림픽 남자 단식 결승에 진출했지만 대한민국의 유승민에게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5년 제48회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에서 우승했고, 아시아컵 탁구 토너먼트와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 남자 단식에서 우승했다.

2006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남자 단식과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2관왕에 올랐다.

2007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남자 단식 3위, 남자 복식 준우승을 기록했고, 월드컵 남자 단체전 및 남자 단식에서 우승했다.

2008년 올림픽에서는 남자 단체전 금메달, 남자 단식 은메달을 획득했다.[1]

2009년 세계 선수권 요코하마 대회 단식에서 마롱, 왕리친을 꺾고 우승했다.

2010년 월드컵 우승을 계기로 컨디션을 회복했고, 2011년 세계 선수권에서는 미즈타니 준, 마롱을 꺾었지만, 결승에서 장지커에게 패하며 준우승했다.

2012년 올림픽 남자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남자 단식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3년 세계 선수권 단식 결승에서 다시 장지커에게 패하며 준우승했다.

2014년에 선수로서 현역에서 은퇴했으며, 현재는 중국 대표팀 코치를 맡고 있다. 2024년부터는 남자 대표팀 감독으로 취임했다.

4. 1. 올림픽

왕하오는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남자 단식 결승에서 대한민국의 유승민에게 패하여 은메달을 획득하였다.[1]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남자 단식 결승에서 같은 중국의 마린에게 패해 은메달을 획득하였고, 남자 단체전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하였다.[1] 2012년 런던 올림픽 남자 단식 결승에서는 장지커에게 패하며 은메달을, 남자 단체전에서는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1]

대회단식단체전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은메달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은메달-- 금메달
2012년 런던 올림픽-- 은메달-- 금메달



이로써 왕하오는 올림픽 탁구 남자 단식에서 3회 연속 은메달(2004, 2008, 2012)을 획득하며, '영원한 은메달리스트(Forever Silver)'라는 별명을 얻었다.[1] 올림픽 탁구 남자부 최다 메달 기록(단식 은메달 3개, 단체전 금메달 2개)을 보유하고 있다.[1]

4. 2. 세계 선수권 대회

대회연도단식복식단체전
파리 세계 선수권 대회200316강쿵링후이와 함께 준우승
도하 세계 선수권 대회2004우승
상하이 세계 선수권 대회200516강쿵링후이와 함께 우승
브레멘 세계 선수권 대회2006우승
자그레브 세계 선수권 대회20074강왕리친과 함께 준우승
광저우 세계 선수권 대회2008우승
요코하마 세계 선수권 대회2009우승첸치와 함께 우승
모스크바 세계 선수권 대회2010우승
로테르담 세계 선수권 대회2011준우승장지커와 함께 4강
도르트문트 세계 선수권 대회2012우승
파리 세계 선수권 대회2013준우승


4. 3. 월드컵

왕하오는 2003년 장인 시에서 열린 월드컵에 처음 출전하여 8강에 올랐다.[1] 이후 2004년 항저우 월드컵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1] 2005년 리에주 월드컵과 2006년 파리 월드컵에서는 결승에 진출했으나, 각각 블라디미르 삼소노프(벨라루스)와 마린(중국)에게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1]

2007년 바르셀로나 월드컵 결승에서는 류궈정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 2008년 리에주 월드컵에서도 결승에서 티모 볼(독일)을 꺾고 우승하며 2회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1] 2010년 마그데부르크 월드컵에서는 결승에서 장지커를 꺾고 개인 통산 세 번째 월드컵 우승을 달성했다.[1] 2011년 파리 월드컵에서는 결승에서 다시 장지커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1]

대회연도단식
장인 월드컵20038강
항저우 월드컵20043위
리에주 월드컵2005준우승
파리 월드컵2006준우승
바르셀로나 월드컵2007우승
리에주 월드컵2008우승
마그데부르크 월드컵2010우승
파리 월드컵2011준우승


4. 4. 아시안 게임

대회단식복식
2006년 도하 아시안게임--4강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왕하오는 2006년 도하 아시안게임에서 단식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4. 5. 기타 대회

왕하오는 다양한 기타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다음은 왕하오가 참가한 주요 기타 대회 및 성적을 정리한 표이다.

왕하오 선수 기타 국제 대회 성적
대회연도단식복식
멜버른 오픈199932강8강
하이난 오픈20018강8강
서울 오픈200132강8강
요코하마 오픈200116강]]|]]|]]|]]|]]|]]|]]|]]|]]|]]|]]|]]|]]|]]|]]|]]|]]|]]|]]|]]|]]|]]|]]|]]|]]|]]|]]|]]|]]|]]|]]|]]|]]|]]|]]|]]|]]|]]|]]|]]|]]|]] 우승
스코브데 오픈200132강16강
파룸 오픈2001-- 우승]]|]]|]]|]]|]]|]]|]]|]]|]]|]]|]]|]]|]]|]]|]]|]]|]]|]]|]]|]]|]]|]]|]]|]]|]]|]]|]]|]]|]]|]]|]]|]]|]]|]]|]]|]]|]] 준우승
벨스 오픈200216강4강
카이로 오픈2002-- 우승4강
칭다오 오픈20024강16강
포트로더데일 오픈200232강8강
마그데부르크 오픈200264강
에인트호번 오픈2002-- 우승4강
크로아티아 오픈2003-- 우승8강
제주-시 오픈200316강4강
광저우 오픈2003-- 준우승-- 준우승
브레멘 오픈20038강8강
오르후스 오픈20038강-- 우승
말뫼 오픈200316강-- 우승
아테네 오픈2004-- 우승-- 준우승
평창 오픈2004-- 준우승-- 우승
싱가포르 오픈200416강4강
우시 오픈2004-- 준우승4강
창춘 오픈2004-- 준우승-- 우승
고베 오픈200432강4강
도하 오픈20058강-- 우승
하얼빈 오픈20054강-- 준우승
선전 오픈2005-- 준우승4강
요코하마 오픈20054강8강
벨레네 오픈2005-- 우승4강
자그레브 오픈20064강-- 우승
도하 오픈20064강-- 우승
쿠웨이트 시티 오픈200632강4강
쿤샨 오픈20064강4강
요코하마 오픈2006-- 준우승-- 우승
자그레브 오픈200716강-- 우승
벨레네 오픈2007-- 우승8강
도하 오픈20078강8강
살와 컵 오픈200716강8강
지바 오픈2007-- 우승-- 준우승
난징 오픈2007-- 준우승-- 우승
선전 오픈2007-- 우승-- 우승
툴루즈 오픈2007-- 준우승-- 우승
브레멘 오픈20078강-- 준우승
스톡홀름 오픈2007-- 우승-- 우승
쿠웨이트 시티 오픈20088강-- 우승
도하 오픈2008-- 준우승4강
창춘 오픈2008-- 우승
요코하마 오픈2008-- 준우승
대전 오픈20084강-- 우승
상하이 오픈2008-- 준우승-- 준우승
쿠웨이트 시티 오픈2009-- 준우승4강
톈진 오픈2009-- 우승4강
서울 오픈20094강-- 우승
도하 오픈201016강-- 우승
쿠웨이트 시티 오픈20108강4강
베를린 오픈2010-- 준우승4강
쑤저우 오픈20108강4강
벨레네 오픈20114강-- 우승
셰필드 오픈20114강-- 준우승
도하 오픈20118강4강
두바이 오픈2011-- 우승4강
도르트문트 오픈20114강-- 준우승
선전 오픈20114강-- 준우승
쑤저우 오픈201116강-- 준우승
슈베하트 오픈201116강-- 우승
스톡홀름 오픈2011-- 준우승16강
벨레네 오픈20128강-- 준우승
도하 오픈2012-- 준우승
인천시 오픈20124강-- 준우승
상하이 오픈201216강-- 우승
포즈난 오픈2012-- 우승-- 준우승
쿠웨이트 시티 오픈20134강
도하 오픈20134강-- 준우승
인천시 오픈20134강8강
창춘 오픈2013-- 준우승4강
쑤저우 오픈201316강
쑤저우 오픈201316강
두바이 오픈20138강
마그데부르크 오픈201416강-- 우승
청두 오픈20148강4강
스톡홀름 오픈20144강-- 우승



왕하오 선수 프로 투어 그랜드 파이널 성적
대회연도단식복식
스톡홀름 프로 투어 그랜드 파이널20024강
광저우 프로 투어 그랜드 파이널2003-- 우승
베이징 프로 투어 그랜드 파이널20044강-- 준우승
홍콩 프로 투어 그랜드 파이널2006-- 우승
베이징 프로 투어 그랜드 파이널2007-- 준우승-- 준우승
마카오 프로 투어 그랜드 파이널2008-- 준우승
런던 프로 투어 그랜드 파이널20114강-- 준우승
항저우 프로 투어 그랜드 파이널2012-- 준우승



왕하오 선수 아시안컵 성적
대회단식
2005 뉴델리 아시안컵-- 우승
2006 고베 아시안컵-- 우승
2009 항저우 아시안컵-- 우승



ITTF 월드 투어 2017 독일 오픈에서 왕하오는 판젠둥의 코치로 참가하였다.

5. 은퇴 및 지도자 경력

왕하오는 2014년 12월 20일 중국의 동료 탁구 선수인 하오 슈아이(Hao Shuai) 선수의 아들 100일 잔치에서 은퇴를 선언했다. 이후 2014년 12월 23일 자신의 메타블로그에서 공식적으로 은퇴를 발표했다.[1] 은퇴 발표문에서 왕하오는 "2012년 런던 올림픽 이후부터 은퇴 생각을 했다. 하지만 세대교체기 중심을 잡아줄 인물이 필요하다는 대표팀 사정으로 올해 세계대회까지 왔다. 이제는 후배들이 완전한 자리를 잡았으므로 홀가분하게 현역 생활을 접는다."고 말했다.[1] 2014년 초에 은퇴했던 마 린(Ma Lin) 선수와 왕 리친(Wang Liqin) 선수에 이어 왕하오까지 은퇴하면서 2000년대 중국 남자 탁구를 이끌었던 트로이카 모두 한 해에 은퇴하게 되었다.[1] 왕하오는 은퇴 이후 지도자로 변신하여 중국 탁구 슈퍼리그의 빠이 팀에서 코치를 맡았다.[1]

2023년에 중국 남자 탁구 국가대표팀 감독이 되었으며[2], 2024년부터 남자 대표 감독으로 취임했다.[3] 현재는 중국 대표 1군 남자팀의 코치를 맡고 있다.[3]

6. 사용 장비

왕하오는 포핸드에 DHS 허리케인 하오 블레이드(왕하오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블레이드, N656)와 DHS 네오 스카이라인 III 블루 스펀지를 사용했으며, 백핸드에는 버터플라이 스리버 탑시트에 브라이스 스펀지를 사용했다.

7. 개인 생활

왕하오와 옌보야는 2010년에 만나 2013년에 결혼했다.[9] 같은 해에 아들 왕루이팅을 낳았다. 왕하오는 아들이 탁구를 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10]

참조

[1] 웹사이트 WANG Hao http://www.ittf.com/[...] 2011-06-04
[2] 웹사이트 Wang Hao http://data.sports.1[...] 2011-06-04
[3] 웹사이트 2009 WTTC (Men's Singles) http://www.ittf.com/[...]
[4] 웹사이트 WANG Hao (CHN) http://www.ittf.com/[...] 2011-06-04
[5] 웹사이트 World ranking Record for WANG Hao (CHN) http://www.ittf.com/[...] 2011-06-04
[6] 웹사이트 Summit Reached at the End of a Long Hard Road http://www.ittf.com/[...] 2011-06-04
[7] 웹사이트 Wang Hao Officially Retired From The National Team http://tabletennista[...]
[8] 웹사이트 Wang Hao Interview http://home.covad.ne[...]
[9] 웹사이트 Wang Hao's Love At First Sight http://tabletennista[...]
[10] 웹사이트 Wang Hao Introduced Table Tennis To His Son (Photos) http://tabletennista[...]
[11] 웹사이트 ITTF - World Ranking https://ranking.ittf[...] ITTF 2021-10-20
[12] 웹사이트 王皓_人民中国 http://www.peoplechi[...] 2015-11-30
[13] 서적 卓球王国2010年3月号108ペー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